체외충격파 치료는 저 에너지 또는 고 에너지의 초음파를 신체의 특정부위에 비 침습적으로 적용하는 치료방법 1980년대부터 신장 결석이나 담석의 파쇄에 적용되어 3백만 명 이상의 환자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정형외과 분야에서는 1991년에 경골의 가관절에 처음으로 적용되었습니다. 그 후 족저 근막염, 견관절의 회전 근 개의 건 염, 테니스 엘보우 등의 건 부착부의 병변에도 적용되는 등 그 적응증이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충격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충격파는 조직액과 연부조직 사이를 따라 침투하게 되는데 건의 부착부 또는 근건경계와 같이 저항의 차이가 큰 부위에서 효과를 발휘합니다.
1 초음파 충격파의 발생
초음파 충격파의 발생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electromagnetic type: 스피커의 코일 같은 코일에 강한 전류를 통과하여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electrohydraulic type: 두 전극 사이에 전기 스파크를 일으켜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현재 미국의 FDA의 심사를 통과한 유일한 기기이다.
piezoelectric type: 압전자에 전류를 통해 압전자의 진동을 통해 초음파 충격파를 발생한다.
발생한 초음파 충격파는 음향렌즈를 통과하여 국소 부위에 초음파 발생량의 50%가 집중되
는데 이 초점이 병소 부위와 일치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C‐arm 또는 초음파 진단기
기를 사용하여 초점과 병소 부위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2 초음파 충격치료의 작용기전
초음파 충격파는 체 표면을 통과하여 표적이 되는 병소 부위에 도달하여 물리적 또는 생리
학적 작용을 하여 그 효과를 나타내게 됩니다.
뇌의 gate‐control 기전을 자극하여 통증의 전달을 막아 진통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충격파는 통증 수용기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통증 수용기에 통증 신호가 축적되는 것을 막습니다. 이러한 기전으로 장기간의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충격파는 치료부위의 조직내의 대사의 변화를 유도하여 효소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이때 증가되는 효소들로는 VEGF(vessel endothelial growth factor), BMP(bone morphogenetic protein), OP(osteogenetic protein)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효소들의 영향으로 치료부위의 신생혈관의 양이 증가하고 혈행이 증가하게 됩니다.
충격파로 병소부위에 nitride oxide 등의 유리기(free radical)의 양이 증가하여 병소 주위의 화학적인 환경의 변화가 일어납니다.
3 적응증
족저 건염(plantar fasciitis)
아킬레스 건염
석회화 건염
테니스 주 등의 급성 또는 만성의 부착부의 건의 병변
인대의 부착부의 병변
근육통 및 근육의 손상
Morton씨 신경종
피로 골절
대퇴골두, 슬부, 족관절부의 무혈성 궤사
지연 유합
불유합
슬부와 족관절부의 골 연골성 결손
여러 원인에 의한 피부의 궤사( diabetic ulceration, 지연 치유되는 손상에 의한 피부의 궤양)
4 금기증
골 종양
대사성 골 질환
신경의 병변
출혈성 경향
5 초음파 충격 치료 중 또는 치료 직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지만 일시적이며 합병증이 없습니다.
6 적용방법
충격파 치료 시 병변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초음파 충격기의 header와 피부 사이에 초음파 젤을 도포하고 병소 부위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header를 위치하여야 합니다.
병변의 위치에 따라 초음파 충격파의 강도를 조절하여 1주 간격으로 3회 정도의 시술을 합니다. 보통 0.08mJ/mm2로 1000회의 충격파를 적용하며 통증의 치료에는 0.8‐0.23 mJ/mm2의 강도로 치료합니다.
'비수술적 관절, 척추 치료 > 체외충격파 ESW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WT 란? 체외충격파 란? (0) | 2011.10.18 |
---|